겨울철 차량관리 - 엔진오일이 상태 알아보기
겨울철에는 온도가 많이 떨어지기 때문에 시동이 잘 안걸리는 경우가 있는데요 혹시 겨울용 엔진오일이라고 들어보셨나요?
우선 엔진오일 교환시기는 5000km 1만km 등 다양하게 교환주기를 잡고 교환주기에 맞춰서 정비소를 방문하실 텐데요. 혹한기와 혹서기가 오기전에 시즌에 맞게 엔진오일을 교환하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엔진오일 용기를 살펴보면 0W50, 5W30 이렇게 적혀 있는데 W가 겨울을 뜻하는 약자이며 숫자는 온도에 따른 끈적임의 점도를 나타냅니다.
모든 오일은 저온에서는 굳고 고온에서 묽어지는 특성이 있는데
앞의 숫자는 낮을 수록 추운곳에서 묽은 점성을 띄어 시동이 쉽게 걸리는 지를 뒤의 숫자는 높을 수록 엔진이 고열인 상태에서도 점성이 잘 유지되는지를 의미합니다.
0W는 영하 50도, 5W는 영하 38도에서 견딜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쉽게 얘기해서 겨울에는 시동시 마모되는 엔진을 보호하고 예열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저점도 오일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하지만 무조건 겨울에는 저점도 오일이다! 하는 정답은 없습니다.
저점도 오일을 사용하고 가혹하게 운행하게 되면 오히려 차에 더 안좋은 상황일 수도 있으니까요.
겨울철에는 자동차 엔진이 가장 혹사 당하는 계절입니다. 추운 날씨로 인해 엔진오일의 점도가 높아 초기 시동시 엔진 내부가 손상을 입기 쉬우며 결과적으로 차량 수명단축, 연비에 영향을 미칩니다.
겨울에 엔진오일을 좋은 것을 사용해야 엔진관리를 잘한다? 이건 잘못된 얘기인거 같은데요~ 충분한 예열을 하고 출발 후에도 일정 거리를 저속주행해서 엔진이 추위에 적응할 시간을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여름에는 5W-30 겨울철에는 0W-30을 사용하는데요
엔진오일은 정답이 없는데 여러 종류의 오일을 직접 사용해 보면서 차가 어떻게 다른지 느껴보는 것도 하나의 재미일 것 같습니다.
'차량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철 차량관리] 보이지 않는 빙판길( 블랙아이스) 대처 요령! (0) | 2017.11.29 |
---|---|
겨울철 자동차 관리준비해야할 시기는 12월초 (0) | 2017.11.29 |
[자동차부품] 차량 충돌 시 안전을 지켜 주는 범퍼에 대하여. (0) | 2017.10.24 |
[차량관리] 자동차 배터리 관리 요령 (0) | 2017.10.20 |
[자동차관리] 셀프 세차 잘하는 법을 알아봅니다. (0) | 2017.10.16 |